보리스 미로노프 (아이스하키 선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보리스 미로노프는 은퇴한 러시아의 아이스하키 선수로, 수비수 포지션에서 활약했다. 그는 HC CSKA 모스크바에서 선수 경력을 시작하여, 위니펙 제츠, 에드먼턴 오일러스, 시카고 블랙호크스, 뉴욕 레인저스 등에서 뛰었다. NHL 올루키 팀에 선정되기도 했으며, 은퇴 후 2006년 복귀하여 비탸즈 체호프에서 한 시즌을 더 뛰었다. 또한 러시아 국가대표팀으로 1998년 나가노 동계올림픽 은메달, 2002년 솔트레이크시티 동계올림픽 동메달을 획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 - 게르만 티토프 (아이스하키 선수)
게르만 티토프는 소련 리그와 NHL에서 활약하며 우승과 메달을 획득하고 러시아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에서도 활약한 은퇴한 아이스하키 선수이자 지도자이다. - 러시아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 - 세르게이 주보프
세르게이 주보프는 러시아 출신으로 NHL에서 스탠리 컵을 두 번 우승하고 하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된 뛰어난 아이스하키 수비수이며, 은퇴 후에는 코치와 댈러스 스타스의 하키 운영 수석 컨설턴트로 활동하고 있다. - 2002년 동계 올림픽 아이스하키 선수 명단 - 마리오 르미외
마리오 르미외는 NHL에서 17시즌 동안 피츠버그 펭귄스에서 활약하며 여러 차례 리그 최고 선수로 선정되었고, 하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으며, 펭귄스 구단주로서 팀의 스탠리 컵 우승을 이끌었다. - 2002년 동계 올림픽 아이스하키 선수 명단 - 마이클 페카
마이클 페카는 NHL에서 뛰어난 수비형 포워드로 활약하며 프랭크 J. 셀케 트로피를 두 차례 수상하고 캐나다 국가대표로 올림픽 금메달을 획득한 은퇴한 아이스하키 선수이자 현재 뉴욕 레인저스의 보조 코치이다. - 1998년 동계 올림픽 아이스하키 선수 명단 - 게르만 티토프 (아이스하키 선수)
게르만 티토프는 소련 리그와 NHL에서 활약하며 우승과 메달을 획득하고 러시아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에서도 활약한 은퇴한 아이스하키 선수이자 지도자이다. - 1998년 동계 올림픽 아이스하키 선수 명단 - 웨인 그레츠키
웨인 그레츠키는 "The Great One"으로 불리는 캐나다의 전설적인 아이스하키 선수로, WHA와 NHL에서 수많은 기록을 세우고 에드먼턴 오일러스의 스탠리 컵 4회 우승을 이끌었으며, 은퇴 후에는 감독 및 국가대표팀 단장으로도 활동했다.
보리스 미로노프 (아이스하키 선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포지션 | 수비수 |
잡는 손 | 오른손 |
출생일 | 1972년 3월 21일 |
출생지 | 소련 러시아 SFSR 모스크바 |
드래프트 연도 | 1992년 |
드래프트 순위 | 27위 |
드래프트 팀 | 위니펙 제츠 |
커리어 시작 | 1988년 |
커리어 종료 | 2010년 |
키 | 190cm |
몸무게 | 96kg |
클럽 경력 | |
1988-1993 | CSKA 모스크바 |
1989-1991 | →SKA MVO 칼리닌 |
1993-1994 | 위니펙 제츠 |
1994-1999 | 에드먼턴 오일러스 |
1995 | →케이프브레턴 오일러스 |
1999-2002 | 시카고 블랙호크스 |
2002-2004 | 뉴욕 레인저스 |
2006-2007 | 비탸지 체호프 |
2008-2009 | 리시 포돌스크 |
2009-2010 | 크릴리야 소베토프 |
국가대표팀 경력 | |
1989-1990 | 소련 U-18 |
1990-1991 | 소련 U-20 |
1991-1992 | 독립국가연합 U-20 |
1993-2006 | 러시아 |
코치 경력 | |
2008-2009 | 비탸지 체호프 (플레잉 코치) |
2009-2010 | 크릴리야 소베토프 (플레잉 코치) |
2015-2016 | 러시아 육군 (코치) |
2016-2017 | 러시아 육군 |
2017-2018 | 즈베즈다 모스크바 |
2019-2020 | 네프테히미크 니즈네캄스크 (코치) |
2021-현재 |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
메달 기록 | |
올림픽 | |
1998 나가노 | 단체전 은메달 |
2002 솔트레이크시티 | 단체전 동메달 |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 | |
1991 캐나다 | 단체전 은메달 |
1992 독일 | 단체전 금메달 |
유럽 주니어 선수권 대회 | |
1989 핀란드 | 단체전 금메달 |
1990 스웨덴 | 단체전 은메달 |
2. 선수 경력
미로노프는 HC CSKA 모스크바에서 선수 생활을 시작하여 5시즌 동안 활동했다. 1992년 NHL 드래프트에서 전체 27순위로 위니펙 제츠에 지명되어 NHL 무대에 데뷔했으며, 신인 시즌 중 에드먼턴 오일러스로 트레이드되었다. 에드먼턴에서는 뛰어난 활약을 펼쳐 NHL 올루키 팀에 선정되기도 했다. 이후 시카고 블랙호크스와 뉴욕 레인저스를 거쳤으나 점차 경기력이 하락했고, 2003-04 시즌 종료 후 은퇴를 선언했다. 2006년 은퇴를 번복하고 러시아의 비탸즈 체호프에서 한 시즌을 더 뛴 뒤 2007년 최종적으로 은퇴했다.
국가대표로서는 러시아 대표팀 소속으로 두 차례 동계 올림픽에 참가했다. 1998년 나가노 동계 올림픽에서는 동생 드미트리와 함께 출전하여 은메달을 획득했고, 2002년 솔트레이크시티 동계 올림픽에서는 동메달을 목에 걸었다.
2. 1. 클럽 경력
미로노프는 HC CSKA 모스크바에서 5시즌 동안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1992년 NHL 드래프트에서 전체 27순위로 위니펙 제츠에 지명되었고, NHL 신인 시즌 중 에드먼턴 오일러스로 트레이드되었다. 에드먼턴에서 주축 수비수로 활약하며 NHL 올루키 팀에 선정되었고, 팬들에게 "보보"라는 애칭으로 불리기도 했다. 이후 시카고 블랙호크스와 뉴욕 레인저스를 거치며 선수 생활을 이어갔으나, 점차 경기력이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다. 2003-04 시즌 후 은퇴했으나, 2006년 은퇴를 번복하고 러시아의 비탸즈 체호프에서 한 시즌을 더 뛴 뒤 2007년 최종적으로 은퇴했다.2. 1. 1. 위니펙 제츠 (1993-1994)
미로노프는 1992년 NHL 드래프트에서 전체 27순위로 위니펙 제츠에 지명되었다. 그는 신인 시즌에 제츠 소속으로 65경기에 출전했으나, 시즌 중 에드먼턴 오일러스로 트레이드되었다. 이는 위니펙 제츠가 동료 수비수 데이브 맨슨을 영입하기 위한 트레이드의 일부였다. 트레이드에도 불구하고 미로노프는 뛰어난 활약을 인정받아 NHL 올루키 팀에 선정되었다.2. 1. 2. 에드먼턴 오일러스 (1994-1999)
미로노프는 NHL 신인 시즌 중 위니펙 제츠에서 65경기를 소화한 후, 팀이 동료 수비수 데이브 맨슨을 영입하는 과정에서 에드먼턴 오일러스로 트레이드되었다. 트레이드 직후 잠시 경기력이 주춤하기도 했으나, 이내 뛰어난 활약을 펼쳐 NHL 올루키 팀에 이름을 올렸다. 그는 에드먼턴에서 6시즌 중 일부 기간 동안 팀의 주축 수비수(탑-2)로 활약했으며, 팬들과 언론으로부터 "보보"라는 애칭으로 불리기도 했다. 에드먼턴에서 활약하던 중, 그는 시카고 블랙호크스로 다시 트레이드되었다.2. 1. 3. 시카고 블랙호크스 (1999-2003)
에드먼턴 오일러스에서 6시즌 중 일부를 보낸 미로노프는 이후 시카고 블랙호크스로 트레이드되었다. 시카고로 트레이드된 후 그의 경기력은 하락세를 보였다. 팀에서의 첫 시즌은 비교적 좋은 평가를 받았으나, 이후 그의 공격 생산력은 매 시즌마다 감소했다. 결국 2003년, 미로노프는 뉴욕 레인저스로 다시 트레이드되었다.2. 1. 4. 뉴욕 레인저스 (2003-2004)
2003년 시카고 블랙호크스에서 뉴욕 레인저스로 트레이드되었다. 하지만 레인저스에서도 상황은 크게 개선되지 않았고, 결국 2003-04 시즌을 끝으로 은퇴했다.2. 1. 5. 은퇴 번복 및 복귀 (2006-2007)
미로노프는 2006년에 은퇴를 번복하고 러시아 팀 비탸즈 체호프에서 선수로 뛰었다. 그는 이 팀에서 한 시즌을 뛴 후 2007년에 완전히 은퇴했다.2. 2. 국가대표 경력
미로노프는 러시아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 소속으로 두 번의 동계 올림픽에 출전했다. 1998년 일본 나가노에서 열린 1998년 동계 올림픽에서는 동생 드미트리와 함께 출전하여 은메달을 획득했으며, 2002년 미국 솔트레이크시티에서 열린 2002년 동계 올림픽에서는 동메달을 목에 걸었다.2. 2. 1. 1998년 나가노 동계 올림픽
러시아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 소속으로 일본 나가노에서 열린 1998년 동계 올림픽에 동생 드미트리와 함께 출전하여 은메달을 획득했다.2. 2. 2. 2002년 솔트레이크시티 동계 올림픽
미로노프는 러시아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 소속으로 2002년 유타, 솔트레이크시티에서 열린 솔트레이크시티 올림픽에 참가하여 동메달을 획득했다.3. 트레이드 기록
- 1992년 6월 20일 - 위니펙은 미로노프를 지명했다.
- 1994년 3월 15일 - 위니펙은 미로노프와 마츠 린드그렌, 1라운드 지명권(제이슨 본시뇨르) 및 4라운드 지명권(아담 코플랜드)을 에드먼턴으로 보내고, 데이브 맨슨과 6라운드 지명권(크리스 키버마니스)을 받았다.
- 1999년 3월 20일 - 에드먼턴은 미로노프를 요나스 엘로프손 및 딘 맥아몬드와 함께 시카고로 보내고, 채드 킬거, 이든 모로, 다니엘 클리어리 및 크리스찬 라플람을 받았다.
- 2003년 1월 8일 - 시카고는 미로노프를 4라운드 지명권과 함께 레인저스로 트레이드했다.
4. 경력 통계
보리스 미로노프의 선수 경력 동안의 정규 시즌, 플레이오프, 국제 대회 참가 기록 및 통계는 아래 표와 같다.
4. 1. 정규 시즌 및 플레이오프
wikitext정규 시즌 | 플레이오프 | |||||||||||
---|---|---|---|---|---|---|---|---|---|---|---|---|
시즌 | 팀 | 리그 | 경기 | 골 | 어시스트 | 포인트 | 페널티 | 경기 | 골 | 어시스트 | 포인트 | 페널티 |
1988–89 | CSKA 모스크바 | 소련 | 1 | 0 | 0 | 0 | 0 | — | — | — | — | — |
1989–90 | CSKA 모스크바 | 소련 | 7 | 0 | 0 | 0 | 0 | — | — | — | — | — |
1989–90 | SKA MVO 칼리닌 | 소련 2부 | 2 | 0 | 1 | 1 | 0 | — | — | — | — | — |
1990–91 | CSKA 모스크바 | 소련 | 36 | 1 | 5 | 6 | 16 | — | — | — | — | — |
1990–91 | SKA MVO 칼리닌 | 소련 2부 | 2 | 1 | 0 | 1 | 0 | — | — | — | — | — |
1991–92 | CSKA 모스크바 | CIS | 28 | 2 | 1 | 3 | 18 | 8 | 0 | 0 | 0 | 4 |
1991–92 | CSKA–2 모스크바 | CIS 3부 | 3 | 1 | 2 | 3 | 4 | — | — | — | — | — |
1992–93 | CSKA 모스크바 | IHL | 19 | 0 | 5 | 5 | 20 | — | — | — | — | — |
1992–93 | CSKA–2 모스크바 | 러시아 2부 | 4 | 2 | 0 | 2 | 4 | — | — | — | — | — |
1993–94 | 위니펙 제츠 | NHL | 65 | 7 | 22 | 29 | 96 | — | — | — | — | — |
1993–94 | 에드먼턴 오일러스 | NHL | 14 | 0 | 2 | 2 | 14 | — | — | — | — | — |
1994–95 | 에드먼턴 오일러스 | NHL | 29 | 1 | 7 | 8 | 40 | — | — | — | — | — |
1994–95 | 케이프브레턴 오일러스 | AHL | 4 | 2 | 5 | 7 | 23 | — | — | — | — | — |
1995–96 | 에드먼턴 오일러스 | NHL | 78 | 8 | 24 | 32 | 101 | — | — | — | — | — |
1996–97 | 에드먼턴 오일러스 | NHL | 55 | 6 | 26 | 32 | 85 | 12 | 2 | 8 | 10 | 16 |
1997–98 | 에드먼턴 오일러스 | NHL | 81 | 16 | 30 | 46 | 100 | 12 | 3 | 3 | 6 | 27 |
1998–99 | 에드먼턴 오일러스 | NHL | 63 | 11 | 29 | 40 | 104 | — | — | — | — | — |
1998–99 | 시카고 블랙호크스 | NHL | 12 | 0 | 9 | 9 | 27 | — | — | — | — | — |
1999–2000 | 시카고 블랙호크스 | NHL | 58 | 9 | 28 | 37 | 72 | — | — | — | — | — |
2000–01 | 시카고 블랙호크스 | NHL | 66 | 5 | 17 | 22 | 42 | — | — | — | — | — |
2001–02 | 시카고 블랙호크스 | NHL | 64 | 4 | 14 | 18 | 68 | 1 | 0 | 0 | 0 | 2 |
2002–03 | 시카고 블랙호크스 | NHL | 20 | 3 | 1 | 4 | 22 | — | — | — | — | — |
2002–03 | 뉴욕 레인저스 | NHL | 36 | 3 | 9 | 12 | 34 | — | — | — | — | — |
2003–04 | 뉴욕 레인저스 | NHL | 75 | 3 | 13 | 16 | 86 | — | — | — | — | — |
2006–07 | 비탸즈 체호프 | RSL | 46 | 4 | 8 | 12 | 147 | 2 | 0 | 0 | 0 | 6 |
2008–09 | HC 리스 포돌스크 | 러시아 2부 | 41 | 9 | 24 | 33 | 54 | — | — | — | — | — |
2009–10 | 크릴리아 소베토프 모스크바 | 러시아 2부 | 20 | 4 | 8 | 12 | 18 | — | — | — | — | — |
소련/CIS 합계 | 72 | 3 | 6 | 9 | 34 | 8 | 0 | 0 | 0 | 4 | ||
NHL 합계 | 716 | 76 | 231 | 307 | 891 | 25 | 5 | 11 | 16 | 45 |
4. 2. 국제 대회
wikitext연도 | 팀 | 대회 | 순위 | 출장 경기 | 득점 | 어시스트 | 승점 | 페널티 시간 | |
---|---|---|---|---|---|---|---|---|---|
1989 | 소련 | 유럽 주니어 선수권 대회 | 금메달 (1위) | 5 | 3 | 2 | 5 | 2 | |
1990 | 소련 | 유럽 주니어 선수권 대회 | 은메달 (2위) | 6 | 1 | 0 | 1 | 0 | |
1991 | 소련 | 세계 U20 선수권 대회 | 은메달 (2위) | 6 | 0 | 3 | 3 | 0 | |
1992 | 독립 국가 연합 | 세계 U20 선수권 대회 | 금메달 (1위) | 7 | 2 | 2 | 4 | 29 | |
1996 | 러시아 | 세계 선수권 대회 | 4위 | 8 | 1 | 4 | 5 | 12 | |
1998 | 러시아 | 올림픽 | 은메달 (2위) | 6 | 0 | 2 | 2 | 2 | |
2002 | 러시아 | 올림픽 | 동메달 (3위) | 6 | 1 | 0 | 1 | 2 | |
주니어 통산 | 24 | 6 | 7 | 13 | 31 | ||||
시니어 통산 | 20 | 2 | 6 | 8 | 16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